728x90

생활지식Tip 5

#헬스장 환불 어려우시죠??

헬스장 많이들 다니는데 개인 사정으로 등록한 거 중도 환불을 요구하면 100이면 99는 이렇게 얘기합니다. "아 회원님 위약금이랑 수건, 로커비 등 공제하고 나면 얼마 안 남아요." "아 그리고 중도 환불은 할인결제액에서 나누는 게 아니라 정상 이용료에서 나누는 거 아시죠?" 이러면서 원래 돌려받아야 할 금액보다 회원이 내야 할 금액이 더 크다고까지 하기도 합니다. 결국 대부분 포기하거나, 치킨값 정도로 수긍해버리고 말죠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 제31조(계약의 해지) 계속거래업자등과 계속 거래등의 계약을 체결한 소비자는 계약기간 중 언제든지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다만, 다른 법률에 별도의 규정이 있거나 거래의 안전 등을 위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위에 보신 바와 같이 법..

생활지식Tip 2022.12.24

#2023 실천 하나씩 해보기 !!

2022가 끝나가고 있고 단순하게 2023이 오고 있는데 다들 계획은 짜셨을까요? 늘 우리는 새해에는,,,, 이번 새해에는,,, 꼭,, 늘 이렇게 다짐만 하다가 주저하고 있진 않으셨나요? 각자 생각하는 목표들이 있으셨을 텐데 이번에는 다들 실행에 옮겨서 성공도 해보시길 바라겠습니다 이제 다가오는 2023에는 목표를 적어두고 저장해 두었다가 실천을 꼭 해보도록 해요!! 행복해지는 법 :) 나 자신을 위해서 꽃을산다. 날씨가 좋은 날엔 외출해서 햇빛을 본다 제일 좋아하는 향수를 뿌린다 집안 곳곳 하루에 세 번씩 사진 찍을 때처럼 환하게 웃어본다 하고 싶은 일을 적고 하나씩 시도해 본다 시간 날 때마다 취미를 하나 만든다 음악을 크게 틀고 막무가내로 춤을 춘다 매일 나만을 위한 시간을 10분이라도 확보한다 고..

생활지식Tip 2022.12.22

#오늘의 생활 팁 : 겨울철 한파 적절행동 요령

손발 꽁꽁 겨울철 한파 똑똑한 행동요령 따뜻하게 입고 실내 적정온도 유지하기 목도리, 내복 등 방한 용품을 꼭 착용하고, 실내는 적정온도 (18~20˚c)를 유지 무리한 신체운동 피하기 이른 아침 야외 운동은 자제하고, 주기적으로 따뜻한 곳에서 쉬기 저체온증·동상 조심하기 한랭 질환 의심 시, 따뜻한 옷과 담요, 음료 등으로 보온을 유지하며 즉시 병원 GO 환기 및 외출 시엔 전열기구 반드시 끄기 방한 기구를 사용할 경우 일정한 시간마다 실내 환기를 시키고 외출 시엔 OFF 장시간 외출 시 동파 예방하기 장시간 집을 비우게 될 경우, 수도꼭지를 약하게 틀어 물줄기가 흐르도록 유지

생활지식Tip 2022.12.16

#2023 연봉 협상 참고하세요 !!

"내년 연봉 협상 때 필수 확인 내용 총정리" 1. 연봉 협상 체크 리스트 2023년 최저임금(세전) -시급 : 9,620원 (2022년 대비 5% 인상) -월급 : 2,010,580 (주 40시간 근로기준) -연봉 : 최소 2412만 원 이상 *주의 사항 -각종 수당, 상여금, 인센티브, 식대, 교통비, 복지 비용 등 비과세 항목을 전부 제외한 금액이 최저임금 이상이어야 함 (ex) 월급에 식대 10만 원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면, 최소 월 세전 211만 원 이상을 받아야 최저임금 위반이 아님 2. 알아두면 좋은 연봉별 월 실수령액 3. 신임 연봉 - 연차 수당 (1) 연차 휴가 규정 - 1년 미만 근로자는 1개월 만근 시 다음 달에 1개씩 연차 부여 - 2년 차는 15개, 3년 차부터는 2년마다 연차 ..

생활지식Tip 2022.12.04

#2023년 최저임금 최저시급 알아보기 !!

최저임금이란? 근로자에 대하여 임금의 최저 수준을 보장하여 근로자의 생활안정과 노동력의 질적 향상을 꾀함으로써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제도 첫째, 2023년 최저임금(최저시급) 9,620원(5%) 인상 둘째, 2023년 주휴수당 76,960(주 40시간 일한경우) 셋째, 2023년 최저월급 2,010,580원(주 40시간 일한경우) 2023년 최저임금은 2023년 1월 1일 자정 0시 이후 1인이상 근로자를 고용하는 모든 사업장에서는 적용하여 임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위반한다면 3년 이하 징역이나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기준은 근로자의 생계비와 유사근로자의 임금, 노동생산성, 소득분배율 등을 고려하여 시간, 일, 주, 월 단위로 결정을 하고 시급을 ..

생활지식Tip 2022.12.0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