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지식Tip

#2023 연봉 협상 참고하세요 !!

병주고약주고 2022. 12. 4. 10:40
728x90

"내년 연봉 협상 때 필수 확인 내용 총정리"


1. 연봉 협상 체크 리스트
2023년 최저임금(세전)
-시급 : 9,620원 (2022년 대비 5% 인상)
-월급 : 2,010,580 (주 40시간 근로기준)
-연봉 : 최소 2412만 원 이상
*주의 사항
-각종 수당, 상여금, 인센티브, 식대, 교통비, 복지 비용 등
비과세 항목을 전부 제외한 금액이 최저임금 이상이어야 함
(ex) 월급에 식대 10만 원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면, 최소 월 세전 211만 원 이상을 받아야 최저임금 위반이 아님

2. 알아두면 좋은 연봉별 월 실수령액

*2023년 1월부터 적용되는 4대보험 요율을 반영한 실수령액 사업장별 계산 방식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음

 


3. 신임 연봉 - 연차 수당

(1) 연차 휴가 규정
- 1년 미만 근로자는 1개월 만근 시 다음 달에 1개씩 연차 부여
- 2년 차는 15개, 3년 차부터는 2년마다 연차 1개씩 추가
- 근로자의 날, 법정 공휴일(명절 등)에 쉬는 것을 연차로 대체 X


(2) 주의 사항
- 연차 휴가는 입사 후 1년 단위, 또는 매년 1월 1일에 저년도 사용분을 정산하여 미사용분을 1월 월급여 수당으로 지급
-연차 수당을 연봉에 포함시킨 계약서를 작성하는 것은 불법이 아님 단, 모든 수당을 제외하고도 세전 월급 211만 원 이상이어야 한다

(3) 포괄 임금 포함 내용
- 포괄 임금제는 근로시간 산정이 어려울 때만 예외적으로 인정함
- 퇴직금은 근로관계 종료를 요건으로 지급 사유가 발생하고, 중간 정산 금지 원칙이 있어 포괄임금에 포함시킬 수 없음

(4) 초과 근로 규정
- 실제 초과 근로 시간은 1주에 12시간을 초과할 수 없음
- 근로 계약서에는 연장근로 n시간, 휴일근로 n시간에 대한 가산수당을 포함한 급여가 정확하게 명시되어 있어야 유효함
- 연장근무를 휴가로 주는 경우 1.5배 가산해서 부여해야 함


(5) 동종 업계 평균 연봉
- 회사에서 다른 직원을 대비 연봉이 높은 것은 의미가 없음
- 당장 이직할 생각이 없더라도 동종업계에서 내 연차 정도면 어느 정도를 받는지 알아 둬야 함

4. 연봉 인상 기준점 잡는 방법
- 복지 포인트, 인센티브, 상여금, 야근수당 등 내가 받는 모든 수당을 체크해 보고, 거기에서 15% 내외로 올리는 것이 적절
- 전년도 원천징수등을 발급받으면 모든 상여 내역 확인 가능

300x250